◎ 경제기타/부동산

지방 부동산 폭락땐 '제2의 저축은행 사태'로 번질 수도

그랜드k 2019. 1. 13. 10:29

저축은행 업계는 2000년대 들어서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부동산 시장이 상승 궤도를 달리던 2005~2007년에는 호황을 누렸다. 2008년 초에는 부동산 PF 대출 잔액이 무려 11조원을 넘어섰다는 게 업계 추산이다. 그러나 2008년 중반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부동산 경기가 위축되자 PF 대출 부실화로 이어졌다.

지금 부동산 시장도 서울·수도권 외 지역부터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 서울과 비서울 지역 간 양극화가 심화하면서 사업성이 떨어지는 지방 건설 프로젝트 부실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는 이유다.

비서울 지역은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물량이 지난해 들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부도 처리된 건설사 10곳 중 9곳이 비수도권 건설사다. 지방 저축은행들이 부동산 경기 흐름 변화에 따른 직격탄을 맞을 수도 있는 상황이다.

지방 소재 저축은행들의 지난해 3분기 경영공시를 들여다보면 대구, 경북, 강원, 호남, 충청 등에 위치한 다수의 저축은행이 20%를 웃도는 PF 대출 연체율에 시달리고 있다.

부동산 PF 대출에서 연체율이 무려 100%에 달한 광주광역시 소재 A저축은행 대표는 매일경제와 전화 통화하면서 "오래전부터 연체돼 왔던 PF 대출"이라며 "최근 사업장 인근에 개발 호재가 생겨 최대한 빨리 회수하길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물론 저축은행 업계가 2011년 영업정지 사태 이후 대형보다 소규모 PF 대출을 취급하는 등 리스크를 관리해 왔기 때문에 과거처럼 급격한 부실화는 없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50% 넘는 연체율을 기록 중인 부산광역시 소재 B저축은행 대표는 "아직까지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비서울 지역 저축은행들 수익률이 하락세로 전환했다는 점에서 PF 대출 잔액이 쌓이고 있는 것에 대한 부정적 시각도 확산되고 있다.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대구, 경북, 강원 지역 저축은행들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지난해 9월 0.9%를 기록하며 1%대 밑으로 추락했다.

PF 대출 연체율이 17%에 달하는 대구광역시 소재 D저축은행은 ROA가 1년 사이에 반 토막 났다. 2017년 3분기만 해도 3.91%였는데 지난해 3분기에는 1.46%로 추락했다.

호남, 충청, 부산, 경남 등 지방에서도 1년 전 대비 ROA가 많게는 0.8%포인트 하락했다. 서울이나 경기, 인천은 1년 전 대비 소폭 상승했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부동산 경기 위축이 지속된다면 지방 소재 저축은행들 부담은 갈수록 커질 수밖에 없다.

전국 단위로 보면 저축은행들이 회수하지 못한 PF 대출 잔액은 2014년 이후 매년 늘고 있다.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저축은행 업권의 지난해 3분기 PF 대출금은 2017년 12월(4조2375억원) 이후 9개월 만에 22.8% 상승률을 기록하며 1조원 가까이 늘어났다. 2016년 12월부터 2017년 말까지는 약 8000억원 증가했다.

특히 저축은행 전체 여신에서 PF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빠른 속도로 커졌다. 노지현 나이스신용평가 책임연구원은 "저축은행 부동산 관련 대출 증가분 가운데 상당 부분은 고위험 자산군으로 분류되는 부동산 PF 대출"이라고 진단했다. 최근 추이를 보면 저축은행 전체 대출 규모는 2017년 12월 49조3126억원에서 지난해 9월 54조9341억원으로 11.4% 늘었다. 그 결과 전체 대출에서 PF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4년 말 기준 5.8%에서 지난해 3분기 9.5%까지 치솟았다.

금융감독원 저축은행감독국 관계자는 "2011년 이후 관리·감독을 강화했기 때문에 대규모 부실에 대한 징조는 아직 없지만 부동산 경기에 따라 상황이 변할 수 있는 만큼 PF 대출 동향을 면밀히 지켜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김강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