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기타/경제메모

"도시철도(경전철·지하철) 10개 신설… 서울 어디든 驛까지 10분"

그랜드k 2013. 7. 25. 06:44

 

[서울市, 10년간 8兆 들여 신림선 경전철 등 건설키로]

동북선·난곡선·9호선 등 경전철·지하철 총 89㎞ 신설
철도서비스 취약 지역인 동북·서북·서남권에 집중
기존 지하철과 이용 요금 같고 차액은 실수요 기준으로 지원

서울 시민은 앞으로 10년 이내에 서울 시내 어디서나 걸어서 10분 안에 전철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향후 10년간 경전철 9개 노선을 건설하고 지하철 9호선을 연장해 서울 대중교통체계를 철도 중심으로 바꾸는 '서울시 도시철도 종합발전방안'을 24일 발표했다.

서울시는 2008년 확정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에서 검토됐던 신림선 등 경전철 7개 노선과 2011년 제안된 난곡선에 대해 1년 6개월간 전면 재검토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냈다. 시는 서울 마포구 DMC(디지털 미디어시티) 단지를 순환하는 DMC선을 제외한 기존 7개 경전철 노선에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시는 또 정부의 광역교통개선대책을 반영, 위례신도시 주민들을 위한 경전철 2개 노선을 추가하고, 지하철 9호선을 연장하기로 했다.


	서울시가 현재 민자 사업으로 건설하고 있는 경전철 노선인 우이~신설선 차량의 외부(왼쪽)와 내부(오른쪽) 이미지.
서울시가 현재 민자 사업으로 건설하고 있는 경전철 노선인 우이~신설선 차량의 외부(왼쪽)와 내부(오른쪽) 이미지. /서울시 제공
시는 여건 변화에 따라 5년 내 재검토할 수 있는 ▲화곡~홍대입구선▲신림선 연장 ▲9호선 추가 연장 등 3개 노선도 선정했다고 덧붙였다.

경전철 9개 노선은 ▲신림선(여의도~서울대 앞) ▲동북선(왕십리역~상계역) ▲면목선(청량리~신내동) ▲서부선(새절~서울대입구) ▲우이신설연장선(우이동~방학동) ▲목동선(신월동~당산역) ▲난곡선(보라매공원~난향동) ▲위례신사선(위례신도시~신사역) ▲위례선(복정역~마천역) 등으로 총 연장 85.41㎞다. 위례선은 신도시 내부 트램(노면전차)으로 건설되며, 지하철 9호선은 보훈병원~고덕1지구 구간 3.8㎞를 연장한다. 총 사업비는 8조5533억원으로 국비 1조1723억원, 시비 3조550억원, 민자 3조9494억원, 개발사업자 분담금 3766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또 도심과 강남, 여의도·영등포 등 3대 거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동빙고~삼송) ▲남부급행철도(당아래~잠실) ▲KTX동북부 연장(수서~의정부) 등 광역철도 3개 노선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 지하철은 인구 1만명당 0.31㎞로 런던(0.57㎞), 파리(0.43㎞)에 비해 부족한 편이고 지하철의 대중교통 분담률도 36%로 도쿄(86%)의 절반 수준"이라며 "철도서비스 취약 지역인 동북권·서북권·서남권 시민 편의와 사업 타당성, 노선 효율성을 원칙으로 정해서 노선을 정했다"고 밝혔다.


	서울 도시철도 기본계획 노선도.
서울시는 용인 등 이전 경전철 사업에서 문제가 됐던 수요 과다 예측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계획됐던 경전철 노선에 대해 수요를 보수적으로 재검증했다. 시는 재검증 결과 선진국 주요 도시 철도와 비교해도 수요가 많아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계획대로 10년 내 도시철도 중심의 대중교통체계가 갖춰지면, 대중교통 분담률은 64%에서 75%로 증가할 전망이다.

서울 철도 이용자 통행시간은 28.7분에서 26.2분으로, 이번에 발표된 노선 이용자 통행시간은 31.6분에서 25.4분으로 6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도심부 도로 혼잡 비용(2011년 기준 약 8조원)도 연간 1조2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7~8월 중 환경영향평가 검토, 공청회 등 절차를 거친 다음 9월에 국토교통부에 확정 요청을 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민자사업 과정에서 공공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민간사업자의 수익률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시는 또 실수요가 예측수요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해, 민간사업자가 수요 예측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용 요금도 교통 복지 차원에서 2008년 계획에 포함됐던 차등요금제 계획을 폐지하고 기존 지하철과 동일한 요금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민간사업자가 제안하는 요금과의 차액은 서울시가 실수요를 기준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우선협상자가 정해진 신림선·동북선의 경우 이같이 변경된 기준을 갖고 다시 협상하기로 했다.